top of page

지금은 베트남 Z세대에 주목할 때

▲ 세계 트렌드를 움직이는 중심축 변화 흐름. 사진=비자인캠퍼스 세계 시장은 지속적으로 흐르고 있다. 시간이 아니라 시장이 흐르다니, 이게 무슨 말일까? 거시적 관점에서 세계 트렌드를 움직이는 중심축이 계속 이동하고 있다는 뜻이다. ...

검색어로 살펴본 베트남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베트남에도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이 있다. 아직까지 구글이 베트남의 국민 검색엔진이지만, 베트남에서 개발한 콕콕(Cốc Cốc)도 점점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 현재 25백만명 이상이 사용하며, 베트남 2위의 검색엔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콕콕이...

호치민 상권의 이해(2)

지난 호에서 호치민 상권을 행정구역에 따른 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호치민 시장을 매크로(macro)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번 호에서는 실제로 호치민 상권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업태들의 현황과 소비자 구매 프로세스를...

호치민 상권의 이해 (1)

"호치민은 넓다" 필자가 베트남에 처음 갔던 때는 2005년으로, 베트남 베이커리 시장 조사를 위해 호치민에 첫 발을 내디뎠다. 그 때도 역시 수 많은 오토바이 행렬이 반겨주었다. 도심에 위치한 공항에서, 1군에 위치한 소피텔 호텔까지 차로...

베트남 온라인 시장의 이해(별첨)

코로나 발발로 베트남 이커머스 트래픽이 하락한 이유 코로나가 발발한 2020년 1분기와 2분기는 소피를 제외하고 모든 채널의 웹 방문자 수의 하락세가 두드러진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아이러니 하게도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트렌드로 온라인 기업들이...

베트남 온라인 시장의 이해(2)

이전 호에서 필자는 베트남 온라인 시장의 성장 동력에 대해 3가지를 언급한 바 있다. 유통기업의 플랫폼 주도, 편리 중심의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변화, 중산층 증가가 그것이다. 그리고 첫번째 동력인 유통기업 플랫폼 현황에 대해 자세히 다루면서...

베트남 소비자의 이해(1)

COVID-19로 베트남과 한국 간의 교류가 잠시 주춤해졌지만, 여전히 베트남은 기회의 땅이다.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가 잠잠해지기를 간절히 기다리며, 빠르게 성장하는 베트남에서 투자 및 사업 기회를 활용하여 동반 성장을 꿈꾸고 있다. 우리는...

베트남 소비자의 이해(2)

베트남 사업 관점에서 베트남 소비자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필자는 15년간 해외사업 개발 및 사업관리 분야에 몸담아 왔다.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 국가, 중국, 미국, 일본에 한국에서 원형을 갖춘 사업을 진출시켰다. 진출 후에는 안정적으로 현지...

베트남 소비자의 이해(3)

베트남 주요 소비자의 이해 위에서 베트남의 소비자 세그먼트를 지역별, 소득수준별, 연령별로 나눴을 때, “도시에 사는 중산층 이상의 밀레니얼/Z세대가 베트남의 주요 소비자”라고 할 수 있다. 도시 인구 3,500만 명, 중산층 인구 3,300만...

베트남 온라인 시장의 이해(1)

베트남의 정체성을 담은 못(Một)이라는 브랜드가 있다. 스니커즈 브랜드로 신발 커버는 매우 심플한데, 신발의 밑창은 베트남의 해안선과 베트남의 전통 가옥을 만드는 벽돌 문양까지 새겨져 있어 매우 복잡하다. 이 신발 브랜드를 만든 디자이너이자...

베트남 칼럼: Blog2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