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베트남 온라인 시장의 이해(1)

최종 수정일: 2020년 11월 30일

베트남의 정체성을 담은 못(Một)이라는 브랜드가 있다. 스니커즈 브랜드로 신발 커버는 매우 심플한데, 신발의 밑창은 베트남의 해안선과 베트남의 전통 가옥을 만드는 벽돌 문양까지 새겨져 있어 매우 복잡하다. 이 신발 브랜드를 만든 디자이너이자 CEO인 후인꽝응옥(Huỳnh Quang Ngọc Hân)은 베트남의 정체성을 ‘대조’로 정의하고 디자인하였다. 복잡한 도심 속에도 한적하고 여유로운 공간이 있고, 심지어 시끄럽고 질서 없는 오토바이 물결 속에서도 운전자의 얼굴에는 잔잔한 평화가 깃들어 있다. 이렇게 잘 찾아보면 ‘대조’적인 모습이 공존하는 곳, 그것이 바로 베트남의 정체성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못 스니커즈 디자인)


‘대조’는 베트남 유통시장에도 목격된다. 거시적으로 보면, 베트남 유통시장은 도입기 단계다. 유통시장 전체에서 현대유통이 차지하는 비중은 40% 미만이고, 온라인 시장의 비중은 4.2%수준에 그친다.* 현대유통 비중이 낮은 이유는 도시화율이 40% 수준이어서, 60%를 차지하는 시골지역은 여전히 전통적인 재래시장(traditional trade) 중심이기 때문이다. 반면 도시에는 백화점, 슈퍼마켓, 편의점 등 현대유통채널(Modern trade)이 집중되어 있고, 매우 다이내믹하게 유통시장의 성장하고 있다.

이커머스 역시 호치민과 하노이에서 거래(transactions)의 70% 이상이 집중되어 있는 상황이다. 독일의 데이터분석 전문회사인 스태티스타(Statista)는 베트남 온라인 시장은 동남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여, 2025년에는 인도네시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하고 있다.


*한국 유통시장에서 온라인 비중이 41%(산업부 조사, 2019년 기준)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이다.

동남아 국가별 온라인 시장규모 및 성장률(단위: 10억 달러)